web3가 뭔데
WEB3는 Web3.0, 즉 WEB 3세대라는 의미임.
그럼 1세대 2세대는 뭐냐구요
1. Web 1.0 (읽기만 가능)
Web 1.0 (1991 ~ 2004)
Web 1.0은 정적 웹의 시기로, 웹 생산자가 컨텐츠를 만들면 이용자가 소비하는 아주 간단한 형식입니다. 상호작용 그런거 없었구요
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습니다.
Netscape, Yahoo! 등이 있음
2. Web 2.0 (읽기 + 쓰기 가능)
Web 2.0 (2004 ~ ??)
Web 2.0은 사용자가 참여하고, 콘텐츠를 생성하며, 상호작용하는 환경으로 발전한 시기입니다. 이 시기에는 동적 웹이 등장하면서, 웹사이트는 더 이상 정적인 페이지가 아닌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형태로 변했습니다.
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, 사용자들은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고, 다른 사람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또한, Google, Facebook, YouTube와 같은 플랫폼들은 웹을 인터랙티브하게 변화시키며,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동시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하는 방식이 확립되었습니다. 이러한 변화는 웹을 커뮤니케이션과 협업의 공간으로 변모시켰습니다.
YouTube, Facebook 등이 있음
3. Web 3.0 (읽기 + 쓰기 + 소유 가능)
Web 3.0(?? ~ ??)
Web 3.0은 탈중앙화와 분산형 웹을 특징으로 하며,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. 이 시기에는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웹 경험이 더욱 개인화되고, 가상현실(VR)과 증강현실(AR) 기술이 결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웹 환경이 제공됩니다.
또한, NFT와 같은 디지털 자산이 등장하면서 사용자는 블록체인을 통해 소유권과 가치를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, 웹은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.
Ethereum, Polkadot 등의 블록체인 플랫폼은 중앙화된 서버 없이, 분산된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동화된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며,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(dApp) 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
정리
주요 특징 | 정적 웹 페이지 | 동적 웹 페이지 및 사용자 참여 | 분산화, AI, 블록체인, 개인화 |
컨텐츠 | 정보 제공 중심 | 사용자 생성 컨텐츠, 상호작용 | 지능형 시스템, 데이터 기반 서비스 |
기술 | HTML, CSS, JavaScript | AJAX, RSS, Social Media | 블록체인, AI, Semantic Web |
사용자 참여 | 거의 없음 | 활발한 사용자 참여 및 공유 | 탈중앙화된 방식의 참여, 소유 |
인터페이스 | 정적인 웹사이트 | 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웹사이트 | 사용자 맞춤형, 지능적이고 연결된 웹 |
주요 예시 | 초기 인터넷 웹사이트 (1990년대) | 소셜 미디어, 위키, 블로그 (2000년대) |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(DApps) |
데이터 소유 | 중앙화된 서버에 저장 | 서버 기반, 기업의 데이터 소유 | 사용자 소유, 탈중앙화된 데이터 |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Zed Attack Proxy (ZAP) 사용 가이드 : [Dreamhack] web-ssrf 풀이 (0) | 2024.12.24 |
---|---|
[Wizmall] ZAP을 이용한 wizmall 취약점 탐색 - XSS (0) | 2024.09.08 |
[Wizmall] wizmall 사이트 취약점 탐색 - 파일 업로드 공격 (0) | 2024.09.08 |
sqlmap을 이용한 자동 취약점 탐지 (0) | 2024.09.04 |
wizmall(위즈몰) 웹 세팅 (0) | 2024.08.10 |